📑 목차
비트코인, 이더리움, NFT 같은 디지털 자산은 죽음 이후 어떻게 상속될까?
법적 기준과 기술적 한계, 그리고 안전한 상속을 위한 준비 전략을 구체적으로 정리했다.

디지털유품관리 ㅡ 암호화폐, NFT 같은 디지털 자산은 어떻게 상속되나?
은행 계좌는 가족이 상속받을 수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지갑 속의 암호화폐는
비밀번호 한 줄을 모르면 영원히 잃어버리는 자산이 된다.
최근 한국에서도 암호화폐·NFT 등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기준 국내 암호화폐 보유자는 약 630만 명,
보유 금액은 평균 2,000만 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사후 상속 절차’를 정해둔 사람은 10%도 되지 않는다.
이는 단순한 소유권 문제가 아니다.
비트코인, NFT, 메타버스 토지 같은 자산은
법적 상속 체계 밖에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재산이다.
즉, 법은 아직 그 존재를 완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암호화폐와 NFT의 상속이 왜 복잡한지,
법과 기술이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지금 우리가 준비해야 할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론 ① : 디지털유품관리 ㅡ 암호화폐 상속이 어려운 이유
암호화폐 상속의 가장 큰 문제는 소유 증명과 접근 권한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1. 법적으로는 재산, 기술적으로는 ‘비가시적 자산’
한국 법원은 암호화폐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 인정한다.
즉, 상속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속을 위해서는 지갑 주소와 개인키(Private Key) 가 필요하다.
이 키는 암호화폐의 유일한 접근 수단이며, 분실하면 복구가 불가능하다.
즉, 법적으로 상속할 수 있어도, 기술적으로는 접근할 방법이 없을 수 있다.
실제로 비트코인 초창기 투자자 중 약 20%가 개인키를 잃어
총 1,000억 달러 이상이 영구히 접근 불가능한 ‘사망 자산’으로 남았다.
2. 중앙 관리 기관이 없다
은행 계좌는 사망 신고 후 가족이 절차를 밟으면 인출 가능하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탈중앙화 구조라
‘지갑 주인의 사망’을 확인해줄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족이 법원에서 상속 인정을 받아도
거래소나 지갑 서비스가 협조하지 않으면 실제로 자산을 이동시킬 수 없다.
3. 법적 절차의 불명확성
한국의 민법은 암호화폐 상속에 대한 구체적인 조항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속인은 ‘금융자산’으로 간주해 신고하지만,
세무서나 법원은 이를 과세 또는 상속 평가의 기준으로 명확히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결국 법적 인정과 기술적 접근이 분리된 상태에서
암호화폐 상속은 ‘가능하지만 실행이 어려운 재산’이 되어버린다.
본론 ② : NFT와 디지털 자산 콘텐츠의 상속 문제
NFT(대체 불가능 토큰)는 디지털 예술, 음악, 영상, 게임 아이템 등
‘디지털 소유권’을 증명하는 수단이다.
하지만 이 또한 상속 절차는 명확하지 않다.
1. NFT는 자산인가, 저작권인가?
NFT는 블록체인 상의 토큰일 뿐,
실제 작품의 저작권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NFT를 상속받아도,
그 이미지나 음악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권리는 자동으로 이전되지 않는다.
결국 NFT는 소유권과 이용권이 분리된 자산이다.
2. 지갑 접근권이 곧 소유권
NFT는 ‘지갑 주소’가 곧 소유를 증명한다.
즉, 지갑의 개인키를 잃으면 NFT도 잃는다.
이 때문에 NFT 상속의 핵심은
“소유권 이전이 아니라, 지갑 접근권의 이전”이다.
3. 거래소 보관 NFT의 예외
일부 NFT는 오픈씨(OpenSea)나 거래소 지갑에 보관되어 있다.
이 경우 해당 플랫폼은 법적 요청에 따라 상속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 지갑(Metamask, Ledger 등)에 보관된 NFT는
개인키 없이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핵심 요약:
NFT는 법적으로는 상속 가능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지갑의 키를 전달하지 않으면 완전히 잃게 되는 자산이다.
본론 ③ : 디지털 자산 실제 상속 사례와 법원의 판단
1. 국내 사례 — 거래소 협조를 통한 상속 인정
2022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한 상속인이
사망자의 업비트 계좌 내 암호화폐를 상속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거래소 계정 내 보유 코인은 금전적 가치가 있는 재산으로서 상속 대상”이라고 판결했다.
다만, 상속인은 사망 증명서·가족관계증명서·상속 확인 서류를 제출해야 했다.
2. 해외 사례 — 개인키 부재로 인한 상속 실패
2021년 영국의 한 가족은
사망한 아버지가 50BTC를 보유하고 있었음을 확인했지만,
하드웨어 지갑의 비밀번호를 몰라 접근하지 못했다.
지갑 복구 회사에 의뢰했으나 암호화 수준이 높아 복구에 실패했고,
그 자산은 사실상 영구히 소멸됐다.
이처럼 법원이 상속을 인정하더라도,
기술적으로 접근할 방법이 없으면 자산은 현실적으로 사라진다.
본론 ④ : 디지털 자산 안전한 상속을 위한 준비 전략
1. 개인키와 복구 문구(Seed Phrase) 보관
암호화폐나 NFT의 가장 중요한 정보는 개인키 또는 시드 문구다.
이 정보는 오프라인 문서 형태로 암호화해
금고나 변호사 사무실 등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USB나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은 해킹 위험이 높다.
2. 디지털 유언장 작성
유언장에 ‘디지털 자산 상속’ 조항을 명시하면
법적 분쟁을 줄일 수 있다.
예:
“내 지갑 주소 0xXXXXXX에 보관된 모든 암호화폐 및 NFT는
배우자 ○○○에게 상속하며,
개인키는 봉인된 문서로 전달한다.”
이 문서에 서명과 공증을 추가하면
법원은 상속 의사로 인정할 가능성이 높다.
3. 신탁 서비스 활용 (Crypto Inheritance)
해외에서는 “Crypto Inheritance Service” 라는
디지털 자산 상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이들은 사용자가 생전 등록한 지갑 정보를
사망이 확인된 후 지정된 상속인에게 자동 전달한다.
국내에서도 2025년부터 유사한 서비스가 도입될 전망이다.
4. 거래소 계정의 ‘사후 처리 절차’ 숙지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는
사망자 계정의 자산 인출을 위한 절차를 운영 중이다.
단, 개인지갑 자산은 해당되지 않으며,
거래소 내 보유분만 상속이 가능하다.
결론: 디지털 자산 상속은 기술과 신뢰의 결합이다
암호화폐와 NFT는 법적으로 상속 가능한 자산이지만,
그 실현은 오직 기술적 접근 권한(개인키, 시드 문구) 에 달려 있다.
따라서 법적 문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디에, 어떻게, 누구에게 전달할 것인가’라는 구체적인 관리 전략이다.
우리가 죽은 뒤,
블록체인 속 자산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것은 남겨진 가족의 손에도, 국가의 손에도 닿지 않는다.
결국 지금 살아 있는 내가 준비하지 않으면,
그 자산은 기술의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오늘 당신의 지갑을 열어보라.
그 안에 든 숫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숫자에 접근할 수 있는 ‘열쇠’다.
디지털 시대의 상속은,
그 열쇠를 어떻게 남기느냐에 달려 있다.
'디지털유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망 후 계정 해킹 방지를 위한 디지털유품관리 3중 보안 시스템 만들기 (0) | 2025.11.02 |
|---|---|
| 클라우드 속 추억, 가족이 접근할 수 있는 합법적 디지털유품관리 방법 (0) | 2025.11.02 |
| AI가 사라진 나를 대신할 수 있을까? — 디지털유품관리 아바타 윤리 이슈 (0) | 2025.11.01 |
| 디지털 자산 상속을 위한 비밀번호 디지털유품관리 전략 (0) | 2025.11.01 |
| 디지털유품관리 아이클라우드, 드롭박스, 이메일 계정의 사후 접근 권한 설정법 (0) | 2025.11.01 |